음악? 노래? 흥!!

꿈꾸는 오케스트라 8- 오케스트라 편성 아는 만큼 보인다!!

알 수 없는 사용자 2013. 10. 13. 00:43

오케스트라는 기원전 5세기 경 연극이 원형극장이라 불리는 옥외 극장에서 공연되었는데 오케스트라는 배우들이 연기하는 무대 앞 반원형 공간을 말하는 명칭였답니다. 이곳을 합창단이나 악기 연주자들이 사용했구요.

시간이지나면서 16세기 말 오페라가 공연을 하기 시작하면서 무대와 청중사이 연주자들이 앉는 공간을 오케스트라로 부르고 시간이 흐르면서 공간이나 무대가 아닌 여러 악기 연주자들의 집합자체를 오케스트라라고 부르게 되었지요. 

소규모 악단으로 출발했던 오케스트라는 고전주의와 낭만주의 시대를 거치면서 기하급수적으로 규모가 커졌습니다. 10여명이 연주하던 오케스트라는 지금은 100여명이 넘는 경우도 많습니다.

(사진출처 :현대카드 홈페이지 http://superseries.kr/)

오케스트라에서 사용되는 악기는 크게 현악기군(stringed instruments), 목관악기군(woodwind instruments),금관악기군(brass instruments), 타악기군(percussion instruments) 등 네 종류로 구성 됩니다.

 현악기군(stringed instruments)

현을 진동시키는 방법에 따라 찰현 악기 (문질러 소리 내는 것) 과 발현악기(튕겨서 소리내는 것)로 나뉩니다. 공연장에 가면 무대에서 가장 가까운 쪽에 줄로 소리를 내는 현악기들이 많이 보입니다. 현악기군은 다른 악기에 비해 표현력이 풍부하고 수도 훨씬 많고  가장 중심이 되는 악기 그룹입니다.

1. 바이올린 (Violin) : 현악기 중 가장  음이 높고 깊고 화려한 소리를 가지고 있어,  중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2. 비올라 (Viola) : 바이올린보다 몸집이 조금 더 크고 현악기 군 중 음역은 바이올린 보다 좀 더 낮고 부드러운 음색을 지녔습니다. 보통 사람들은 비올라와 바이올린을 잘 구분하지 못하는 데요. 이는  크기와 연주 자세가 비슷하기 때문입니다. 비올라의 음색은 바이올린에 비해 똑같은 음 높이에서 더 어두운 음색을 띱니다.

3. 첼로(Violon Cello) : 비올론첼로(Violoncello) 흔히 영국 독일에서 첼로(Cello) 약칭됩니다. 첼로는 깊고 그윽한 소리를 가졌으며, 현악기 중 가장 음역이 넓고 풍부한 표현력을 가진 악기 입니다. 처음 오케스트라를 접할 때 첼로 음색이 좋아 관심을 갖는 분들이 종종 있더라구요.

4. 콘트라 베이스/더블 베이스(Contra Bass/Double Bass) : 현악기 중 가장 낮은 소리를 지녔습니다. 이 악기는 주로 저음을 담당 해 조금은 무겁게 느껴지지만 다른 악기의 소리를 받쳐주는 마음씨 좋은 악기 입니다.

(사진출처:http://visual.merriam-webster.com/index.php)

목관악기군(woodwind instruments)

목관악기에는 플루트,오보에,클라리넷,바순 등이 있습니다. 원래는 나무관으로 되어있는 관악기를 의미했으나 현재는 바순을 제외한 대부분의 목관악기들이 나무 이외의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 지고 있습니다. 목관악기는 관에 입김을 불어 울리는 것과 관의 한 끝에 붙이 리드를 불어서 관을 공명시키는 방식이 있습니다. 플루트나 피콜로, 리코더는 리드가 없고 클라리넷이나 색소폰은 한개의 리드가 오보에나 바순 등은 겹리드 악기 입니다.

1. 플루트(Flute) : 원래 플루트란 리드를 가지지 않는 관악기의 총칭이나, 오늘날에는 오케스트라에 쓰이는 특정의 가로피리(橫笛)를 말합니다. 플루트는 목관 악기이자 기명악기이며, 다른 목관 악기들과는 달리 리드를 사용하지 않고 관에 바람을 불어 넣어 소리를 내게하는 간단한 원리를 이용하여 뚫어진 구멍을 손가락으로 막거나 열어 음의 고저를 조절합니다. 목관악기 중 하모닉스라고 하는 배음을 내는 유일한 악기로 아름답고 맑은 소리를 냅니다.

2. 피콜로(Piccolo) : 플루트 절반 정도의 작은 관으로 플루트 처러 생긴 가로피리입니다. 플루트보다 1옥타브 높은 음을 내며 음색이 맑고 경쾌하며 사랑스럽습니다.

3. 오보에(Oboe) : 오보에는 '높은 소리의 나무 피리'라는 뜻의 프랑스어 hautbois(오부아)에서 유래된 목관악기입니다.
겹리드(double reed)를 가지고 있는 관악기로 2개의 리드의 틈사이로 입김을 불어 넣어 울리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목관 악기들에 비해 오보에는 맑고 날카로운 소리를 내므로, 합주시에 다른 악기들의 소리에 묻히지 않고 두드러지게 잘 들리죠. 또한 오보에는 다른 목관악기에 비하여 음높이의 미조율(微調律)의 폭이 매우 좁아서 오케스트라 튜닝의 가이드 악기로 쓰입니다. 더블리드 악기 특유의 예리한 코가 메인 것 같은 매력적인 음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4. 클라리넷(Clarinet) : 클라리넷(독일어: Klarinette, clarinet, 이탈리아어: clarinetto)은 조옮김 악기로써 홑리드의 목관으로 폐관식 음진동을 일으키는 유일한 관악기 입니다. 악기 이름의 연원은 이탈리아어 "Clarino"에 작은이란 뜻을 주는 접미사 -et가 붙어 만들어진 것으로, 18세기 초 클라리넷이 등장하면서 높은 음역에서 당시 고음악기였던 클라린-트럼펫과 비슷한 소리를 내었고, 이 트럼펫의 대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그렇게 불리게 되었습니다.
클라리넷의 역사는 비교적 짧지만 넓고 다양한 음역과 자유로운 발상력 때문에 관현악에서 바이올린과 같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악기입니다.

5. 바순/파곳(Bassoon/Fagotto) : 바순(영어: bassoon, 프랑스어: basson 바송), 또는 파곳(독일어: fagott 파고트, 이탈리아어: fagotto 파고토)은 리드가 두 개인 목관 악기로, 목관 악기 중에서 가장 낮은 음을 냅니다.  같은 겹리드 악기인 오보에와 비교하여 더 낮은 음역에 조금 더 부드러운 음색을 갖고 있으며 그런 이유로 바순은 오케스트라 내에서 다른 악기들과 매우 잘 섞이고 전체 음향을 더욱 풍부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답니다.

6. 색소폰(saxophone) : 1개의 리드악기이며 19세기 아돌프삭스가 클라리넷을 바탕으로 발명한 악기로 19세기 까지 관현악에 거의사용되지 않았습니다. 조옮김 악기로서 소프라노, 알토, 테너,바리톤 베이스 등 넓은 음역에 걸쳐  각종악기가 있으며 현대재즈 새로운 양식의 관현악 곡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사진출처:http://visual.merriam-webster.com/index.php)

금관악기군(brass instruments)

악기의 연주자들의 입술의 리드의 역할을 하고 발음원이 되는 관악기를 말합니다. 오케스트라에서 가장 소리가 크고 직진성이 있어 오케스트라 배치에서도 가장 뒷자리에 배치합니다. 금관악기는 옛날부터 모두 금속으로 만들었고 모두 조옮김 악기이며 금관악기는 주로 클라이 맥스에서 강한 인상을 남기는데 많이 사용됩니다.

1. 트럼펫(Trumpet) : 군대에서 신호를 보내는 나팔처럼 생긴 악기로 금관악기 중 가장 많이 쓰입니다. 밝고 화려한 음색을 가지고 있으며 금관악기 중 가장 고음역을 담당합니다.

2. 트롬본(Trombone) : 다른 금관악기들이 3개의 밸브로 음을 조절하는 데 반해, 트럼본은 슬라이드식 움직임을 통해 음을 조절하고 관을 신축시켜 음의 높이를 조절 합니다. 나팔류 중 가장 힘차고 강한 느낌을 표현하며 관현악을 연주할 때 화음을 연주해서 오케스트라 음악에 힘을 더해줍니다.

3. 호른(French Horn) : 독일에서는 호른, 영어로 프렌치호른(horn, french horn)이라 불리는 나팔꽃 모양의 금관 악기로 가느다란 관을 원형으로 돌린 금관악기입니다. 호른은 오늘날 사용되는 관악기 중 플루트와 더불어 가장 오래된 악기 중 하나인데요. 금관 악기와 목관악기 사이를 조화롭게 이어주는 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가적인 평화로운 음색과 넓은 음역으로 다양하게 사용되는 악기입니다.

4. 튜바(Tuba) : 금관악기중 가장 큰 악기입니다. 튜바는 넓은 원추형 구멍과 나팔형의 벨 그리고 컵 모양의 마우스피스로 된 밸브가 있는 금관악기로 음색도 나팔류 중 가장 낮은 음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타악기군(percussion instruments) 

(사진출처:http://visual.merriam-webster.com/index.php)

1. 실로폰 (Xylophone) : 속이 빈 공명관 위에 걸려있는 두 줄의 나무바로 되어있다. 음색은 건조하고 음랭이 약하고 공명은 마림바보다 잘 되지 않습니다.

2. 마림바(Marimba) : 목금. 그 이름은 아프리카와 중앙 아메리카의 전통 악기에서 따왔으며, 오케스트라의 마림바는 오케스트라의 실로폰의 심한 변형으로 볼 수 있습니다. 공명이 잘되고 맑고 청아한 음색으로 독주악기로도 활발히 쓰이죠.

3. 팀파니(Timpani) : 기마솥과 비슷한 모양의 드럼입니다.서로 음높이가 다른 2대를 한쌍으로 사용하며 윗면에 씌운 가죽의 조임을 조절하여 음높이를 조절합니다. 회전식이나 페달식 등 여러 가지 개량이 가해져 오늘날에는 글리산도 주법도 가능한 페달 팀파니가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심장의 울림을 가져다 주는 오케스트라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4. 큰북(Bass Drum) : 몸통 양쪽에 가죽을 대고 머리에 탄성이 있는 펠트나 털조각을 넣은 공모양의 북채로 한쪽면의 가죽을 치는 악기입니다.

5. 작은북(Snare Drum) : 목제 또는 금속제의 원통형의 몸통 양면에 가죽이나 플라스틱으로 된 둥근 테에 당겨 붙인 것으로 기본적인 구조는 큰북과 같으며 막면에 스네어(울림줄)라는 2~12개의 거트선 또는 구리선이 가로질러 매있으며 이것이 이 악기 특유의 건조하고 경쾌한 음색을 제공합니다.

6. 트라이앵글(Triangle) : 트라이앵글의 음색은 높고 맑으며 선명합니다. 이것은 오케스트라의 색채에 있어서 윤곽과 발랄함을 주는 악기인데요. 소리가 매우 투명하므로 어떠한 합주에 있어서도 그 색채감이 뚜렷하다 할 수 있습니다.

7. 탬버린(Tambourine) : 직경이 10인치의 작은북이고 한 쪽 부분에만 소가죽으로 덮혀있습니다. 굴레에는 몇 개의 구멍이 뚫려 징글(Jingles)라고 하는 쇠조각이 달려 있어 연주법이 다양하고 쾌활하고 생기있는 리듬을 지원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이거나, 음색을 더하여 주거나 악센트를 주기 위하여 쓰입니다.

8. 캐스터네츠(Castanets)

9. 탐탐(Tam Tam)

10. 심벌즈(Cymbais)

 

참조: http://hiclassic.co.kr/109963116 이현모의 행복한 클래식과 오디오

         http://blog.daum.net/polaris-agnes/16298496  영원한 폴라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