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이진 썸네일형 리스트형 [송이진의 사소한 인터뷰 4-2] - 진격의 뱃살타파 “지방은 에너지 저장창고인데 손쉽게 가까운 내장지방부터 쓰거든요. 그러니 여자들의 피하지방인 나잇살은 쉽게 ‘안‘ 빠지는거에요“ “부분적으로 살 빼는 운동도 있잖아요?” “뱃살 빼려고 윗몸 일으키기 하세요? 안될걸요. 팔뚝, 종아리를 날씬하게 하는 운동? 그런 것 믿지 마세요. 부분 근육을 키울 수는 있지만 부분 지방을 뺄 순 없어요. 지방이 빠지는 위치는 랜덤이거든요. 뱃살 뺄려면 전체를 빼야 해요 연예인들 뱃살이 없는 이유. 아주 깡마르지 않던가요? 그들은 우리의 상상 이상으로 처절하게 뺐을거에요. 이진씨의 뱃살은 그렇게 해야 빠지는거에요“ 무슨 이런 부정적이고 희망 없는 인터뷰가 다 있을까. 그럼 이 글의 주제는 진격의 뱃살 타파가 아니라, 진격의 다이어트가 되어야 하는건가? "그래요. 그럼 전체 .. 더보기 [송이진의 사소한 인터뷰 4- 1 ] - 진격의 뱃살 타파 “이진씨는 애기 낳고도 그대로네~ 살 다 빠졌어~” 아휴.. 속사정 모르는 소리! 난 지금껏 군살 걱정은 안하고 살아왔다. 날씬... 하다기 보단, 비쩍 마른 편이었고, 체중미달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살았었다. 그랬던 내가! 출산 2년이 다 되도록 뱃살이 한웅큼 잡히니, 자신감 상실에 라인 상실... 그리하여 시작된 진격의 뱃살 타파! 친한 언니의 남편이자 그 역시 왕년에 뱃살 고민 좀 했던 비만 전문의 이기에, 나의 것도 소리 소문 없이 처리해 주실거라 믿으며, 희망의 인터뷰를 시작해본다. “저 출산 후 뱃살이 안 빠져요. 왜 이러는거죠?” “출산 때문? 나이 때문이겠죠” 나이...도 서로운데 살까지 따라오는건가. “나이 먹고 저처럼 아기도 낳았는데 날씬한 연예인들은 많잖아요? 뭘 하면 그렇게 되죠?” .. 더보기 [송이진의 사소한 인터뷰 3-③] - 소아과 선생님의 속마음 “의사마다의 소견이 다르겠지만 미국은 종합비타민을 권하던데요 선생님은 왜 비타민을 권장하지 않으세요?“ “유준이는 밥을 잘 먹으니까요. 대신 우유를 적게 먹는다니 칼슘 흡수를 돕는 비타민D를 권한거에요. 미국은 고기 위주 식단이라서 그렇지 않을까요?“ 조카 아이가 종합 비타민을 먹기 시작한 후로 나물을 잘 먹지 않는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아이들은 본능적으로 몸에 필요한 것을 아는 것이 아닐까? 나물에는 비타민 말고도 많은 영양소가 있는데, 나는 이왕이면 자연식품을 먹이고 싶다. “그럼 선택 예방접종은 어때요? 비싼데 꼭 해야 하나요?” “쓸데없이 맞는 것은 없어요. 필요하니까 접종이라는 것이 있는 건데, 나라에서 예산이 없으니 보조가 되는 것은 필수, 안 되는 것은 선택이라 나눈거죠“ “소아과 선생.. 더보기 [송이진의 사소한 인터뷰 3-②] - 소아과 선생님의 속마음 “선생님도 저 같은 엄마이신가요?” “그럼요~ 저 아들만 셋이에요. 큰애가 초등학교 4학년, 막내는 곧 돌이 되네요?” 갓난아기가 있으시다고? 내가 이 병원을 다닌지 일 년이 되어 가는데? “어디보자... 유준 어머니가 저희 병원에... 아. 셋째 낳고 한 달 후 복귀 할 때 오셨군요” 난 아들 키우기의 고단함을 하소연하며 건강검진을 받았었고, 이 슈퍼맘님은 내가 아주 건강하다는 진단을 내려 주셨다. 귀가... 뜨거워진다. “소아과는 적성에 맞으신가요?” “아유~ 애 싫어하는 사람은 이거 못하죠. 애 울음소리를 감당해야 하는데, 아이에게 예민한 사람은 정말 하기 힘들걸요?“ 나는 내가 겪었던 선생님들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았다. “혹시 그 선생님들 연세가 좀 있지 않으셨어요? 아무리 아이를 좋아해도 2~3.. 더보기 [송이진의 사소한 인터뷰 3-①] - 소아과 선생님의 속마음 내가 유별난 선생님들을 만난 것인지도 모르겠다. 유준이의 첫 소아과는 머리 둘레만 재고 200불을 달라 했다. 이 억울한 이야기는 다음 미국 출산 편에서 풀기로 하고. 아이가 설사라는 첫 아픔을 겪으며 집 앞 소아과로 달려갔다. 그런데 의사 선생님의 첫 마디가, “나보고 어쩌라는거요?” 내가 실수를 했나? 아니면 심기 불편한 일이 있으셨나? 갑자기 외국인이 된 것처럼 그 짧은 한국말을 이해할 수 없었다. 곧이어 알게 된 나의 죄목는 ‘아이의 똥 기저귀를 가져오지 않은 것’이었다. 집에 와 찾아보니 아이의 똥이 평상시와 다를 땐 챙겨가야 한단다. 그래도 난 억울해서 처방 받은 약을 먹이지 않는 것으로 소심한 분풀이를 했더랬다. 그리하여 바꾼, 다음 소아과 선생님은 깐깐한 교감 선생님 같았다. “제 말을 따.. 더보기 [송이진의 사소한 인터뷰 2] - 베이비 시터와의 대화 우리 세대만 해도 아이는 엄마 손에서. 그렇지 못하더라도 혈육의 손에서 크는 것이 당연했었다. 하지만 어쩌겠나. 요즘 엄마들은 가정보다 사회의 일꾼이어야 하고, 모여 살던 가족 친지들은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당신들인걸... 아이에게 세상의 전부인 엄마. 그 자리를 대신할 ‘남’을 찾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요즘 엄마들의 오복(五福)중의 하나가 이모님(베이비 시터)복이라고 하지 않던가. 난 그녀가 늦둥이를 키우는 엄마라고 생각했다. 자기보다 아이 입을 먼저 챙기고, 아이를 향한 밝은 얼굴이 친엄마의 것과 다르지 않았다. 저런 분이라면 우리 유준이를 맡겨도 될 것 같은데...슬쩍. 말을 걸어본다. “이 일은 언제부터 얼마나 하신거에요?” “둘째 아이가 다섯 살이 되던 해 우연히 옆집 아이를 .. 더보기 [송이진의 사소한 인터뷰 1] - 세 영재를 둔 엄마 이야기 아들 유준이는 또래에 비해 제법 빠른 발달을 보였다. 모든 부모들이 한번쯤 하게 되는 그 착각에. 나도. 영재란 것이 궁금해졌다. 얼마 전 MBC 스페셜에 소개되었다며 남편이 보여준 기사 하나. 아이큐 210의 천재소년으로 한 시대를 떠들썩하게 했던 김웅용 박사. 언론에 보도된 기사를 잠시 보자면 그는 100일때 이미 19개의 이가 났고, 돌때 한글과 천자문을 떼고, 만 3세에 미적분을 풀고, 이듬해 한양대 청강생으로 입학, 8살에 미국 콜로라도 주립대 석박사 수료, 10살에 나사의 연구원으로 일하였단다. “뭐야 영재가 아니라 괴물 아니야? 허경영 공중 부양하는 소리 하고 있네” “실제 인물이야! 그런데 순탄치 않은 인생이었고 지금은 평범한(?) 공학박사가 되었대. 유준이 지금 이가 몇 개났지? 영재는 .. 더보기 이전 1 다음